향토사 연구

금마지(金馬志)

청담(靑潭) 2020. 12. 14. 16:00

금마지(金馬志)

남태보 편저

이의강 외 역

들어가는 말

익산 문화원에서 《금마지》와 《여산․함열․용안》읍지 한권씩을 받았다. 나는 지금까지 이 지역 향토사는《신증동국여지승람》을 기본으로 하여 공부하여 왔는데, 익산시의 지원을 받아 원광대 이의강 교수를 비롯한 고문헌강독회 연구진에 의해 작년에는 《금마지》가, 금년에는 《여산․함열․용안》읍지가 발간되었으므로 최근에 나도 얻어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연구진 중에는 과거 20여 년 전에《마한향토사연구회》를 함께 했던 고교후배인 이재형 교수, 이택회 익산교원향토문화연구회장, 임홍락 전 익산고교장이 있고 우리 가원과 자주 만나는 정덕주 교수의 이름도 보인다. 그런데 책의 명칭이 金馬인 것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 한서지리지나 세종실록지리지는 志를 붙였지만, 거의 모든 邑誌는 誌로 쓰고 있고, 저자인 남태보가 군위현감 재직시 지은 군위읍지인 《赤羅誌》역시 誌를 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여산부 읍지와 함열현 읍지, 용안현 읍지도 역시 誌를 붙이고 있다.

폐일언하고, 번역된 이 두 권의 책을 구하여 공부하게 되어서 매우 기쁘고 이 지역 향토사를 보다 더 잘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1. 해제 : 西山 南泰普의 《금마지》

남태보(1694-1773)는 영조 11년(1735)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영조 24년(1748:54세) 음서로 군위현감에 부임하였다. 그는 재직 중에 군위읍지인 《적라지》1․2권을 영조 29년(1753)에 편찬하였다. 비록 음서로 관직을 얻었지만 대단한 인문학적 지식을 가진 학자로 여겨진다. 남태보의 활동이 당시 영남 암행어사 이득종에게 알려져 왕에게 순리(循吏:공무를 중히 여기고 법을 잘 지켜 백성들을 위하는 관리)로 보고되었고, 그 결과 특별 승진하라는 왕명에 의해 영조 30년(1754) 승진하여 익산군수로 부임하였다. 그는 61세라는 나이에도 열정적인 노력으로 불타 없어진 객사를 비롯한 관아를 부임 1년 만에 완공(1755)하였고, 부임 2년만인 영조 32년(1756)에는 《금마지》를 편찬하게 된다. 그 후 울산부사로 승진하였고 1773년 80세로 생애를 마쳤다.

 

2. 금마지의 체재 구성과 내용

이 《금마지》는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다. 《적라지》와 《금마지》는 지역은 다르지만 시기적으로 짧은 간격을 두고 동일한 수령에 의해 편찬된 이들 두 읍지의 체제상의 특기할 만한 공통점은 다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읍지의 이름으로 당시 사용하던 고을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군위현 읍지는 신라때 명칭인 ?적라?를 사용하였고, 익산군 읍지는 통일신라때 명칭인 ?금마?를 사용하였다.

둘째, 적라지는 1,2권, 금마지는 상․하권으로 편찬하였고, 1권과 상권에서는 주로 지역의 현황을 다루었다.

셋째, 적라지 1권은 67개 항목, 금마지 상권은 71개 항목으로 나누어 항목의 배열순서가거의 같고 기록하는 방식이 거의 유사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비해 훨씬 더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읍지이다.

이 책의 내용을 모두 정리할 필요는 없기에 읽으면서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이나 특이한 사항만을 추려 간략하게 적어보고자 한다.

 

 

▣금마지 상권

○서울까지 468리

○군수 : 당하관 종4품부터 정3품까지의 문관, 남반, 무관을 교대로 임명한다. 근무기한은 60개월

○훈도 : 지금은 폐지

○전주진관의 병마동첨절제사 겸 금위영 파총이 익산군수의 겸직자리

○성씨에 신증동국여지승람처럼 蘇(진주)씨가 빠져 있다.

○소녀들은 모두 귓바퀴를 뚫어 구멍을 내고 끈을 꿰어 놓아 귀걸이를 차려는 것처럼 한다.

○사신의 왕래는 두 길로 나뉘어 한 길은 여산을 경유하고 한 길은 함열을 경유하는데 어떤 때에는 본 고을의 길을 나란히 지나가기도 한다.

○지금의 미륵산은 용화산이라 불렀고 금화산이라고도 한다.

○횡탄 : 춘포면 사천촌 앞 삼천의 하류에 있다. 바닷물이 이곳까지 들어와 상선이 와서 정박한다.

○장연 : 춘포면에 있으며 우서보에서 물이 흘러들어와 호수가 되었는데 길이가 10리이다. 호수가 모두 연꽃이어서 전당지에 비견되고 마름과 가시연밥이 나온다.

○양촌대 : 몽곶리 뒤 작은 구릉에 있다. 양촌 권근이 유배시 이곳에 정자를 짓고 즐기면서 쉬던 곳이다.

○관장하는 면 : 춘포면 제석면 두촌면 두천면 지석면 율촌면 사제면(용제면) 구문천면 미륵면 군내면(10개면)

○鄕廳 : 수령보좌 자문기관, 軍官廳 : 군관이 사용하던 청사, 軍廳 : 속오군 장교와 관리가 거처, 기타 選武廳, 郡司, 軍器廳, 刑獄, 作廳 : 아전이 집무하던 곳, 通引廳 : 관아의 심부름꾼인 통인이 머무는 곳, 羅將廳, 馬房이 있다.

○태허정 : 고을 관아 서쪽 산기슭에 있다. 소세양이 창건하였는데 조망이 뛰어난 곳이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편액은 중국사신 주지번이 뒤에 쓴 것인데 소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용안읍지 : 태허정은 邑城 안 蓮池 가운데 있다. 태사 주지번이 편액을 썼다고 하는데 지금은 없다.

둘 중 하나는 잘못된 기록인데 아마도 익산의 태허정이 사실인 듯 여겨진다. 소세양이 중국사신을 접대하는 관반이 되어?....익산의 승지로는 태허정만 한 곳이 없다.?라는 기록도 있기 때문이다.

○사직단 : 고을 서쪽 2리의 저성에 있다.

○미륵사탑 : ...《연려실기술》에 의하면 신라 성덕왕 29년(730) 6월에 벼락이 쳐서 무너졌다고 한다.

○지석 : 고을 서쪽 15리 지석면 임내리 서쪽에 있다.

○호구 : 가호는 3,768명이다. 인구는 14,158명이다. 남자는 6,785명이고 여자는 8,319명이다. ※남녀수를 합치면 15,264명이니 계산이 서로 맞지 않다. 호당 가족수는 평균 4명이고 남녀비율은 45 : 55이다.

○향교생 50명, 화산서원생 30명, 화암서원생 20명

○武官 : 마군 별장(종9품) 1인, 초관(속오군 종9품) : 2인

○出身 : 무과에 합격하고 벼슬을 얻지 못한 자 6인

○裨將 : 수령의 막료. 행수군관, 병장군관, 관군관, 면기찰장 등 이 있다.

○軍案 : 군인총수 : 3,051명 -중앙및 지방의 부대소속이나 대부분 세금으로 대신함. 베를 부치는 군인 1,618명, 쌀을 바치는 군인 281명, 직접 번을 서는 군인 82명, 번을 면제받는 군인 12명, 역을 겸하는 군인 61명, 훈련에 참여하는 군인 493명, 보인 444명

○선무군관 : 79명 부유층 사족을 위한 특수병종으로 매년 베 1필을 매면 잡역을 면제

○募屬 : 吏奴 作隊 126명. 리노역의 처리를 위해 고용한 사람들.

○假屬 : 임시로 예속. 향교 50명, 화산서원 30명, 화암서원 20명, 향청 50명, 군관청 10명, 작청 50명.

○鄕任 : 좌수 1명, 별감 2명, 풍헌(면장 역할)은 각 면에 1명, 약정(향약 임원)은 각 면에 1명

○官屬 : 鄕吏 7명, 假吏(행정실무) 23명, 貢生(교리가운데 서리로 충원) 25명, 의생 1명, 나장 23명, 관노 23명, 관비 16명

○田結 : 밭 2,412결, 논 2,692결

○租稅

- 賦稅는 연분9등에 의거 하지중(6말)과 하지하(4말)이다.

- 대동미는 結마다 11말 1되 3홉 7작 9리식 거둔다.

- 기타 관수미, 사객미, 세태(밭에 대한 전세는 콩을 징수), 수철장세, 巫稅 등

○徭役

-삼수미세, 결작세, 잡역미, 땔감, 풀 등

○免稅

-수진궁, 돈녕부, 정빈방, 장안공주, 어의궁, 신생옹주방, 관둔, 국둔 등

○復戶 : 특정한 대상자에게 요역과 전세 이외의 잡부금을 면제하던 일

-관공수위 15결, 아록위 40결, 교위전 논7결, 화산서원 위전 논 3결, 인리복호 15결, 효자복호 1결, 출정장사 복호 6결, 조운수군 복호 50결

○관아 소유 농지

-둔전 10결 91부 4속, 둔답 3결 54부 3속, 밤나무 밭, 대나무 밭

○營屯

-후영소유(도망 속오군으로부터 몰수한 전답세)

-중영 소유(도적으로부터 몰수한 전답세)

○進上

영주인이 담당하여 나라에 바치는 진상품 비용은 처치미 23섬, 점가잡역미 60섬, 보전 100량이다. 보전의 종은 봄과 가을 두 분기로 나누어 분기마다 50냥씩이다.

정월 초하루에는 마른 꿩 2마리, 곶감 1접, 조청 1되, 작은 상자 1부, 밧줄 1거리를 바친다. ......

12월 초하루에는 마른 꿩 2마리, 곶감 1접, 돗자리 1립, 밧줄 1거리, 작은 상자 1부를 바친다.

납일(연말 무렵) 산 노루 1마리. 산토끼 1마리, 밧줄 1거리를 바친다.

○分定(진상품을 나누어 배정한 것)

순정(감영)과 호조와 이조와 군기시에 바친다. ※물품 생략

○求請(중국에 가는 사신단 등에게 바침)

정사, 부사, 서장관, 기로소, 중추부에 바친다. ※물품 생략

○貢物 : 私奴婢는 身布 4필을 바친다.

○여러 가축 : 분양마 2필, 양 6마리, 염소 35마리, 돼지 100마리

○장시 : 군내장, 회화장, 반계장(지금 없어짐)

○수공업자 : 대장장이 11명, 弓人 1명, 矢人(궁인이 겸), 목수 7명, 輪匠이 3명, 망건장이 2명, 붓장이 2명, 석수장이 2명, 옹기장이(미륵면2 제석면11 율촌면6 지석면4) 무쇠장이 남산2 미륵면2, 삿갓장이 2명, 패랭이장이 14명, 무두장이(皮革匠) 2명, 유기장이 11명

○名宦 : (익산군수로 명망가) 김장생(1548-1631)

○인물

이행검(1225-1310) : 곧은 절개

이공수(1308-1366) : 익산부원군

소세량(1476-1528) : 강직. 대사간

소세양(1486-1562) : 좌찬성

○익산관련 인물

권 근(1352-1409) : 귀양살이. 좌찬성. 길창군

한백겸(1552-1615) : 소자파 외종손의 사위로 처가살이. 첨의

이 귀(1557-1633) : 인척이 있어 본 고을을 자주 왕래. 김제군수. 좌찬성. 연평부원군

○蔭仕

김중서(참의) 노윤필(현감) 노윤정(참의) 소자파(도사) 소쇄온(첨사) 소세공(첨절제사) 소세검(동중추) 노인석(현감) 노우현(현감) 소수(군수) 소적(참봉) 소해(현령) 소통(도사) 김득지(별좌) 소호선(주부) 소응선(서윤) 소민선(감찰) 소택선(감찰) 소만선(찰방) 소윤원(주부) 김천명(주부) 소정진(참봉) 소영복(참봉) 이시달(주부) 이시담(동지사) 소상겸(감찰) 소계홍(경력) 이박(현감) 이징(목사) 이오(참봉) 소동명(동중추부사) 황자후(참봉) 김익진(감찰) 윤책(현령) 이필(현감) 이석저(봉사) 소후산(사평) 이명저(현감) 이기한(봉사) 백광서(봉사) 백상헌(봉사)

 

▣금마지 하권

○馬韓의 興廢

周나라 武王이 기묘년(기원전 1122)에 殷나라 태사인 箕子를 조선에 封하자 평양에 도읍한 이후 서로 계승하여 900여 년을 이어 내려왔다. 40대손 箕否에 이르자 秦 始皇 26년 경진년(기원전 221)에 해당하는데 진나라를 두려워하여 복속하였다. 기부가 죽고 아들 箕準이 즉위하였는데 29년 되인 漢나라 惠帝 무신년(기원전 193)에 이르러 燕나라 사람 衛滿이 망명하여 무리를 모아 공격하였다. 기준이 바다에 떠서 남쪽으로 와 금마군에 이르러 도읍을 정하고 마한이라고 일컬었다. 50여 나라를 통일하여 四郡二府(漢 武帝 원봉 3년(기원전 108)에 우거를 토벌하여 조선의 옛 땅을 평정하여 낙랑․임둔․현도․진번을 사군으로 삼았다. 漢 昭帝 시원 5년(기원전 82)에 조선의 옛 땅인 평방․현도 등의 군을 평주도독부로 삼고, 임둔․낙랑 등의 군을 동부도독부로 삼았다.)의 시기를 지나 세대를 전하기를 또한 200년 동안 하였다.

기준은 위만에게 공격을 받아 나라를 빼앗기게 되자, 좌우의 궁인들을 거느리고 달아나 바다로 들어와 韓의 땅인 금마군에 이르러 살면서 스스로 韓王이라 불렀다.《동국통감》

 

무진년(서기 7)7월 백제왕이 여러 장수들에게 말하기를

?마한은 점점 약해져 위아래가 마음이 떠나 형세가 오랠 수가 없다 혹시 다른 나라가 차지한다면 脣亡齒寒이 될 것이니 후회해도 미칠 수 없다. 먼저 들어가 치하는 것만 못하다.?라고 하였다. 겨울 10월에 겉으로 사냥하는 것처럼 하면서 군대를 몰래 동원하여 습격하여 드디어 그 나라를 병합하였다. 오직 圓山과 錦峴 두 성만 굳게 지켜 항복받지 못했다. 이듬해 여름 4월에 두 성이 항복하여 마한이 멸망하였다.《동국통감》

 

병자년(서기 16년) 마한의 옛 장수 周勤이 군사를 일으켜 백제 牛谷城 을 점거하였다. 왕이 군사 5천을 거느려 토벌하자 주근은 스스로 자결하였는데 시신의 허리를 베고 처자를 모두 죽였다.《동국통감》

'향토사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향토사 몇 자료 정리  (0) 2020.12.29
여산 함열 용안 읍지  (0) 2020.12.16
익산의 조창  (0) 2020.01.16
익산의 미륵사지와 왕궁리유적 요약  (0) 2020.01.11
익산의 지정문화재 목록  (0) 2019.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