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릿말
장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상품을 매매하던 조선시대의 정기시장이다. 성종 때 전라도에 흉년이 들자 기근을 해결하기 위해 신숙주의 건의로 처음 열렸다는 설도 있으나 실제로는 이미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 향시(鄕市)와 같은 여러 형태의 시장이 그 이전부터 존재해오다가 15세기 들어 장시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유력하다. 상설시장이 아닌 정기시장의 형태를 취한 것은, 아직 생산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해 상품이 부족했으며 구매력도 충분하지 못해, 상설시장으로는 상인들이 이익을 얻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정기시장은 마을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서 열렸으므로 물건을 구매하기에 편리했다는 이점도 있다.
장시는 5일장이 대부분으로 30~40리의 거리를 두고 전국적으로 산재했으며 지역적으로 망을 이루어 상인들이 각 장시를 번갈아 돌아가며 물건을 매매하기에 편리하도록 짜여 있다. 장시에는 인근 주민들이 모여 생필품을 거래했으며, 객주, 여각, 감고 등도 모여들어 활동을 했다. 대부분의 장시는 거래되는 물건에 제한이 없는 보통시장이었으나 곡물시장, 가축시장, 땔감을 공급하는 시탄시장(柴炭市場) 등도 있었다. 이외에도 고기잡이철에 서남해안 등지에서 열리는 파시(波市), 봄·가을로 대구·전주·원주 등지에서 열렸던 약령시 등도 대표적인 특수시장이다.
조선 후기에는 장시의 숫자가 늘어나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19세기 전반기에는 1,000개가 넘었는데 그중 5일장이 900여 개나 되었다.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에 따라 일부 주요 장시를 중심으로 상업도시가 발달하기도 했다. 이러한 5일장은 근래까지도 농촌 곳곳에서 열렸으나 최근 들어 점차 자취를 감추고 있다. (한국고중세사 사전 인용)
어린 시절 김제장날(2일, 7일)이면 어른들은 장(김제장, 일명 징게장)을 보러 갔다. 동네 어머니와 할머니들은 계란이나 쌀, 또는 잡곡을 머리에 이고 신작로에 나가 버스를 타고 시오리 징게장에 간다. 장터에서 가져간 농촌 생산물을 팔아 생필품을 사오는 것이다. 우리 옆집병환이 아저씨네나 삼열이네 집은 나무(장작, 솔가지, 솔방울, 솔가루 등)를 리어카에 싣고 장에 가서 팔아 가계를 운영하기도 했다. 나도 가끔 엄마를 따라 장에 가곤 했다. 만화책을 사달라고 조른 기억, 마을 독립이 아저씨가 풀빵을 사주신 기억, 어깨에 쌀자루를 메고 엄마와 함께골목길을 가면서 고무줄 놀이하는 읍내 소녀들이 볼까봐 마냥 챙피했던 기억도 있다.
익산에는 내가 학교에 다니던 1960년대에는 중앙시장과 남부시장이 큰 상설시장이었고, 오늘의 동부시장이나 북부시장은 없었다. 시내가 확대되면서 두 개의 시장이 새로 생긴 것이다. 점차 5일장이 쇠퇴하는 시대가 되었음에도 익산의 북부시장은 여전히 5일장이 존재하며 그 규모가 크고 전국에서도 유명한 5일장이라고 한다.
내가 <익산향토지>를 공동집필하면서 익산의 시장에 대해서도 조사한 바 있고 퇴직후에는 여유를 가지고 우리 전라북도와 전남과 충남 일대의 5일장터 순례를 마음속으로 스스로에게 약속한 바 있다. 그 첫 방문으로 우리익산의 북부시장을 찾아보기로 한다. 시간이 나는대로 한 곳씩 찾아볼 생각이다. 장시만 보고 그냥 돌아오면 안되고 목적하는 장시 부근의 산을 오르거나, 다른 볼거리를 찾아보는 일을 패키지로 함께 묶어 돌아 볼 생각이다. 우선 먼저 찾아 볼 우리 익산부근의 장시가 열리는 날은 다음과 같다.
여산장 : 1일-6일 지경장 : 1일-6일 함열장 : 2일 -7일 금마장 : 2일-7일
삼례장 : 3일-8일 북부시장 : 4일-9일 원평장 : 4일-9일 고산장 : 4일-9일
황등장 : 5일-10일 봉동장 : 5일-10일
익산북부시장(2015.3.14)
북부시장은 기실은 1975년에 개설된 상설시장이다. 그러나 1910년대부터 4일과 9일에 이곳 솜리에 일명 《솜리장》이 지금의 남부시장부근에서 열리기 시작한 이래 민초들의 삶 만큼이나 끈질기게 그 생명력을 이어오고 있다. 기록애 의하면 1927년에 평소 장날이면 1천여 명이 모이고 대목장에는 1만여 명이 몰리는 큰 장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솜리장이 그처럼 번성한 것은 이 익산이 호남선과 전주-군산 간 철도가 교차함은 물론 호남고속도로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지금도 4일과 9일에 열리는 장날에는 남중동의 북부시장에 인근 군산지역 상인들은 물론 전남 구례, 곡성과 충남 서천, 서산 등지에서 1천여 명의 상인이 몰려들어 시민들과 함께 어우러진다. 이곳에는 부지 6천6백여㎡에 건평 3천3백여㎡의 상설시장인 북부시장이 있으나 이 5일장이 열릴 때는 그 상설시장보다 5배 크기의 장이 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익산지역에는 아직도 황등, 함열, 여산, 금마에는 장시가 열리고 있으나 웬만한 중소도시만 해도 백화점과 대형마트에 밀려 정기시장이 소멸되고 있음에도 우리 익산의 북부시장에서는 장날이 끈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번영하고 있는 특이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오늘 양드리와 함께 운동삼아 걸어서 북부시장에 가기로 했다. 북부시장은 이미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다닌 곳이다. 그러나 장날을 택하여 계획적으로 구경을 가기는 처음이다. 우리 아파트에서 시장까지 40분이 걸렸다. 이 북부시장의 안통에 있는 대각선의 길은 내게 깊은 추억이 있다. 내가 고등학교 2학년 때인 1969년 1년 동안 시내는 전셋방값이 비싸므로 어머니께서 이리공고 오른편 아래 서너채의 집이 있는 작은 시골마을에 방을 얻어주셔서 중학교 3학년인 기현이와 중학교 1학년인 대준이 외삼촌과 함께 자취를 했는데 그 자취방으로 가던 길이 지금의 인북로 11길이며, 당시 살던 집이 있던 곳은 바로 북부시장 4거리 부근이니 이 곳은 내가 많은 추억들을 담고 있는 곳인 것이다.
온갖 물건도 많고 사람도 많다. 예쁜 꽃들도 팔고 있다. 고구마, 마, 씨감자를 팔고 있다. 메주, 온갖 채소, 생선, 육류도 팔고 있다. 값싼 신발이나 옷을 팔고 있는 현대판 보부상들도 많다. 큰 길 건너편에 내가 오늘 가장 관심이 많은 나무시장이 섰다. 큰 사과나무 한 그루가 8만 원인데 시골 우리집까지 가져다가 심어주는데는 10만원은 내야 한다는 눈치다. 심어서 살리기만 하면 내년이면 당장 예쁜 사과들이 주렁주렁 열릴만큼 큰 나무다. 꼭 사다 심고 싶다. 초코베리는 한그루에 1만원이라는데 서너그루 심고 싶다. 옆에 계시던 아저씨가 초코베리는 맛이 쓰기 때문에 새가 따먹지 않아 좋다고 거드신다. 3월중에 사다 심기로 한다. 채소모종들도 많이 나왔는데 아직은 하우스용이라 한다. 채소(상추, 쑥갓등 쌈 싸먹는 각종 채소와 토마토, 오이, 가지 등 열매 열리는 채소)도 다양하게 많이 심어서 실컷 따다 먹고 싶다.
북부시장이나 황등장에는 3천원짜리 짜장면이 있어 유명하다고 하며 나는 20여년 전 황등장에서 짜장면을 한 번 먹어본 기억이 있다. 오늘은 그 짜장면으로 점심을 떼우기로 하여 찾으니 사람들이 많이도 모였다. 천막을 치고 그 아래에 마련된 간이 식탁에서 먹는데 우리는 그것도 차지가 되지 않아 트럭에 붙인 식탁에서 먹었다. 양드리는 맛이 좋다고 하는데 나는 맛이 그리 유별난줄은 잘 모르겠으나 먹을 만은 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동네 중국집에서 먹으면 두드러기가 나기에 평소 청결한 중국집이나 체인점이 아니면 먹지 않는데 먹고난지 두어 시간이 지난 지금 전혀 가렵지 않다. 비록 먹는 장소는 시장의 장터라 불결한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지만, 음식은 아주 깨끗하게 다루는 것이라 생각된다. 짜장면을 먹고 난 후 2천원에 3개주는 호떡을 사서 먹으면서 집으로 왔다. 오늘은 걸어서 갔기에 그냥 왔지만 앞으로 찾을 다른 장터에는 차를 가지고 찾아갈 것이므로 식품거리를 필요만큼 구입하기도 하고, 여지껏은 관심을 두지 않던 색다른 농산물 등도 관심을 가지고 구입하여 먹어보는 재미도 느끼고 싶다.
'5일장 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산장 (0) | 2019.12.06 |
---|---|
여산장 (0) | 2015.10.07 |
황등장과 용안생태습지공원 (0) | 201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