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와 진로진학

인구 노인 경제관련 통계자료

청담(靑潭) 2017. 9. 28. 12:34

 

인구관련통계(2017 이후)

 

 

1. 2017 전국인구 : 5132만 명

2. 전국도시인구비율 : 91.66%, 전북 도시인구비율 : 79.69%

3. 2015.11 통계

세계인구 : 73.5억 명 한국 5107만 27위 중국 13억 7600만 인도 13억 1140만

미국 3억 2180만 북한 2520만 50위 남북한 7550만 20위

4. 전국 평균연령 : 40.3세(전북 42.3세) 전국 정 중앙나이 41.2세

5. 2016년 통계(2017 발표)

전체가구 1911만

1인가구 520만 27.2%

2인가구 26.1%

3인가구 21.5%

4인가구 18.8%

5인이상 6.4%

6. 전북 가구원수 : 2.42명 전주 2.55명

7. 아파트 거주가구 : 919.7만(48.1%) 디문화가구 29.9만 (1.6%)

8. 성씨

김21.5% 이14.7% 박8.4% 최4.7% 정4.3% 강2.4% 조2.1% 윤2.1% 장2.0% 임1.7%

※1천명 이상 153개, 30만명 이상 30개

9. 본관

김해김씨446만(9.0%) 밀양박씨310만(6.1%) 전주이씨263만(5.3%) 경주김씨180만 경주이씨139만 진주강씨97만 경주최씨95만 광산김씨93만명

※이상 858개 1만명이상 385개

10. 국내거주 외국인수 : 206만(전 인구의 4%)

11. 2032년부터 우리나라 인구감소추세 예상

12. 미혼비율(2016)

■세대별 : 20대(91.3%) 30대(36.3%) 40대(13.6%)

■여성 학력별 : 대학원졸 (23.4%) 대졸(16.3%) 고졸(7.7%) 중졸(2.7%)

13. 종교인구 : 46.6%←55.1%(2012)

■개신교 : 20.3%  ↓2.2%

■불  교 : 19.6%  ↓2.55

■천주교 : 6.4%   ↓3.7%

■개신교인중 교회에 나가지 않는 사람 비율 : 23.3%  ↓9.5%

■비개신교인중 호감도 : 개신교(9.5%) 불교(40.6%)  천주교(37.6%)

14. 2017 주민등록 인구통계

□노인인구(65세 이상):735만 6천명(연 36만 명 증가):

            14.2%←13.5%(2016)←12.7%(2014)←11.7%(2012)←10.9(2010)

□유소년인구(15세 미만): 678만 5천 명(연 13만 명 감소) : 13.1%←13.4%(2016)

□총인구수 : 5,177만 8,544명(8만 2328명 증가 : 0.16%)

■10대 미만(8.6%) 10대(10.2%) 20대(13.2%) 30대(14.2%) 40대(16.8%)

  50대(16.4%) 60대(10.9%) 70대이상(9.6%)

15. 2018청소년 통계

□청소년 인구(9-24세) : 899만명 ← 1982년(1421만명)

  청소년 인구 비율 추세 : 1980년(36.8%) → 2018년(17.4%) → 2060년(11.1%)

□학령인구(6-21세) : 824만명 ← 1980년(1440만명) - 2028년 693만명으로 감소예상

□초등학생 인구(6-11세)비율 : 1970년(17.7%) → 2018년(5.4%)

  중학생 인구(12-14세)비율 : 8% → 2.6%    고등학생 인구(15-17세)비율 : 6.5% → 3%

  대학생 인구(18-21세)비율 : 6.9% → 5%

□대학진학률 : 2009년(77.8%) → 2018년(68.9%)

□고졸자 취업률 : 34.7%   대졸자 취업률 : 67.7%

16. 2017 인구주택총조사(2018.8.28일 발표)

□총가구수 : 2016.8만 가구

□평균 가구원수 : 2.47명  1인가구(561.9만 28.6%)

□총인구: 5142.3만 명 연0.3%(15.3만 명)증가 내국인(4994.3만명 95.4%) 외국인(147.9만명 4.6%)

□내국인중 고령인구 711.5만 명(14.2%) 고령화사회(2000년)이후 17년 만에 고령사회진입 

□100세 이상(3,908명 12.1% 증가)

□서울 가구수 : 394.9만 가구    주택수 : 286.7만 호(아파트 166.6만호 58.1%)

□수도권 인구수 : 2551.9만 명   49.6%

17. 2019년 3월

■한국체류 외국인수 : 250여 만명 (전 인구의 4.6%) ◀ 1990년 : 5만여명(0.1%)

■2018년 경 예상수 : 500만 명(10%에 육박)

18. 2018 인구주택총조사(2018.8.29일 발표)

□총인구 : 5163만 명(수도권이 19.8%)

□65세이상 노인인구비율 : 14.8%

□70세 이상 인구 : 506만 명

□외국인 인구 : 165만 명

□중위연령 : 43.1세

□2050만 가구(1인가구 29.3%,  2인가구 27.3%,  3인가구 21%, 4인가구 17%, 5인이상 5.4%)

19. 한국의 세대구분

●노인세대       : 1954년 이전(66세 이상)

●베이비 붐 세대 : 1955-1963(57세-65세) 8년 ※ 724만 명

●386세대        : 1964-1969(51세-56세) 5년

●X세대          : 1970-1980(40세-50세)10년

●밀레니엄 세대  : 1981-1994(26세-39세)13년

●Z세대          : 1995-2005(15세-25세)10년

20. 2019 인구주택총조사(2019.11.1기준)

□총인구 : 5178만 명(+15만, +0.3%)

□수도권인구: 2571만(+18 +0.2%) : 50%(서울-3  경기+20  인천 +2)

□14세이하 : 12.6%  65세 이상 : 15.5%

□중위연령 : 43.7세(+0.6세)

□1인가구 : 30.2%  2인가구 : 27.8% 3인가구 : 20.7%  4인가구:16.2  5인이상가구 : 5.0%

   -70대 1인가구 :18.4%  -20대 1인가구 : 112만명

□외국인 인구 : 177.9만 명(+7.7%)  수도권: 61%

  -중국교포 :30.2%  -중국인:12.4%  -베트남: 11.1%

□다문화가구 : 35만가구, 106만 명

21. 2020년 말

□최초로 인구 감소국으로 전환

□5182만 9023명

□-2만 838명 감소

22. 2020년 말 1인 가구 : 30.4%(10년 전보다 2배로 증가)

○연령별 : 70세 이상( 26.7%) 60대(19.0%), 50대(15.4%), 20대(13.6%), 30대(13.0%)

○소득수준 : 월소득 0~50만원(7.9%), 50만∼100만원(25.2%), 100만원대(25.0%), 200만원대(18.8%), 300만원대(10.3%)

23. 전북 2021년 말 혼인상황

1. 혼인건수 : 5325건(전년 대비 12% 감소)

2. 평균초혼연령 : 남 33.4세, 여 30.6세

3. 재혼연령 : 남 50.9세, 여 46.5세

4. 외국인과 결혼수 : 349건(전체의 6.6%, 2년만에 반토막)

5. 이혼건수 : 3748건(감소세)

24.2022년 조사보고

1.0∼14세 인구 구성 비율이 12%로 세계 평균(25%)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와 일본이 우리나라와 같은 12%로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반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7%로 세계 평균(10%)보다 높다.

출생 시 평균 기대수명은 83세로 세계 12위를 기록했다. 세계 평균인 73.5세보다 약 10년 길다.

한편, 북한의 인구성장률은 0.4%이고, 0∼14세 인구 구성 비율은 20%,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0%다. 출생 시 평균 기대수명은 72.5세, 합계출산율은 1.9명으로 세계 118위다.

올해 세계 총인구 수는 79억5400만명으로 지난해보다 7900만명 증가했다.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14억4850만명)이고, 인도(14억660만명), 미국(3억3480만명)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5130만명으로 29위다.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발표

1. 작년 인구 0.2% 감소…1949년 집계 이후 처음

2. 총인구 5천173만8천명 1년 전보다 9만1천명(-0.2%) 감소

3. 인구 성장률은 1960년 3.0%로 정점, 1995년부터는 1% 미만, 지난해 처음 마이너스 성장

4. 내국인 인구가 5천8만8천명으로 4만5천명(-0.1%), 외국인 인구(-2.7%)도 2년 연속 감소

5. 남성 인구는 2천 585만명, 여성 인구는 2천 588만 8천명

6. 성비는 99.9, 특히 20대 성비는 111.8

7. 중위연령 43.9세→44.5세, 65세 이상 고령층 871만명

8. 15∼64세 생산연령인구(3천694만4천명)가 34만4천명(-0.9%) 감소.

9. 0∼14세 유소년 인구(608만7천명) 16만7천명(-2.7%) 감소

10.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870만7천명으로 41만9천명(5.1%) 증가. 16.8%. 인구 1/6

11. 내국인 고령층(862만명) 가운데 85세 이상 초고령층(10.1%)은 처음 10% 선을 넘음

12. 중위연령은 44.5세, 동 지역 중위연령(43.4세), 면 지역 중위연령(55.7세) 1.7%

13. 노년부양비는 23.6, 생산연령인구 4.2명이 노인 1명을 부양

14. 수도권 인구 비율(50.4%)

15. 울산(-1.3%) 세종(+3.5%)

16. 229개 시군구 가운데 170곳 인구 감소, 58곳만 인구가 증가

     전북 순창군(-4.2%) 경기 과천시(13.6%)

17. 지난해 거주지를 옮긴 인구 이동자 611만 6천명

18. 서울의 인구 순유출(-9만8천명) 순유입 인구 경기도(13만3천명)

19. 국내 외국인 인구 165만 명으로 총인구의 3.2%

    국내 상주 외국인 한국계 중국인(31.7%)

 

 

 

 

노인관련 통계(2017 이후)

 

 

1. 고령화사회 : 7% 고령사회 : 14%    초고령사회 ; 20%

우리나라 2017년 현재 14.0% 707만 명 387만 가구

※전북 : 17.2% - 임실31.2%  진안,순창30.2%  고창 28.97

※중간점 연령 : 40.8세

2. 41%는 자기수입으로 생활, 40%만 경제 안정

3. 2017평균기대수명 83.1세 건강수명 73.6세 경제수명 76세 행복수명 74.6세

4. 조선시대 왕 27명의 평균 수명은 46.1세

 영조(82세), 태조(72세), 고종(66세), 광해군(66세), 정종(62세)

5. 남성 실제은퇴연령 : 71세-일본69.1세 스웨덴,스위스66.1세 미국65세 호주 64.9세 벨기에59.6세 프랑스59.7세

6. 1970년 평균수명 : 남 58.7세, 여 65.6세

7.2016 은퇴예정자 조사 : 노후 필요자금 월 226만원 준비된 자금 월 110만원

2017 은퇴자 월평균 생활비 237만원

8.2016 노인 학대 조사 : 아들36.1% 배우자15.4% 딸10.7% 며느리4.3%

-친족이 69.6% 정서적37.9% 신체적 25.9% 방임14.9%

9. 2017유엔 연령기준 :

0-17미성년자 18-65청년 66-79중년 80-99노년 100-장수노인

10.주택연금(5억원) 지급액 : 60세 105만원 70세 154만원 80세 240만원

※2017.6 가입자 4.5만명, 평균연령 71.8세, 평균 2억 8억짜리 주택 담보로 종신 월 98.4만원 수령

100만원 미만 : 62.7%

100-200 : 30.1%

200만원 이상 :7.2%

11.노후 부부 월 생활비조사 : 적정비용 237만원, 1인은 145만원

12. 60-65세 달리기 : 12분에 남 2100M, 여1800M

65세 앉았다가 일어나기 : 30초에 남 18회, 여 17회

13. 고령층(55세-79세)

1292만명, 경제활동참가율56.2%, 연금수령자45.3%, 월평균수령액52만원

14. 부모 노후 돌봄 찬성율 : 33%, 현재 자녀와사는 노인 39%, 독립노인 61%

15. 암 발생후 5년 생존율 : 갑상선100, 전립선93.3, 유방암92, 간암32.8 폐25.1 췌장 10.1

16. 한국인 행복수명 : 74.6세(건강수명73.6 경제수명77.0 활동수명72.5 관계수명75.2)

-평균기대수명 83.1세임을 감안하면 노후준비부족등으로 생애 마지막 8.5년은 우울한 노년을 보낸다 는 의미임 :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와 서울대 노년은퇴설계연구소가 공동개발한 노후준비측정지표

17. 노후에 필요한 최소·적정 생활비(부부)

□50대 : 193.3반원 · 260.7만원

□60대 : 166.7반원 · 228.2만원

□70대 : 146.3반원 · 201.3만원

□80대 : 137.5반원 · 191.5만원

18. 60세 이상 자립생활자 : 932만 명(전체의 49.7%)

19. 2017 주택연금수요실태조사(집을 물려주지 않는다)

■60대 이상 : 27.5%←25.2%(2016), 17.7%가 주택연금 가입 희망 피력

■베이비부머(만 55세-59세) : 44.7%←39.1%, 31%가 주택연금 가입 희망 피력

■평균은퇴준비율(은퇴이후가 준비된 사람) : 53.5%)

20. 2017골든 라이프 보고서(20세 ~ 74세 서울 경기 광역시 거주자) 2000명 대상)

노후 적정 생활비 : 251만원

 여유(8.8%) 충족(18.2%) 부족(41.6%) 매우부족(31.4%)

노후 최저 생활비 : 177만원

■행복한 노후 조건

건강(35.1%) 돈(30.4%) 인간관계(12.5%) 사회활동(11%) 여가활동(11%)

21. 2017 노인 상대적 빈곤율 : 45.1%

   (66세-75세 : 42.7%, 76세 이상 : 60.2%,    OECD 38개 회원국 평균 : 10.6%)

22. 국민연금

■60세 이상 국민연금 수령자 수 : 441만명

노령연금수급자(65세 이상) 월평균 수령액 : 38만원

20년 이상 가입한 수급자 수령액 : 89만원

23.한국 고령층(55∼79세) 인구는 1291만 6000명 : 1년 전보다 4.2% 증가.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6.2%, 고용률은 54.8%로 각각 1.1%포인트 상승.

24. 65세 이상 고령인구(707만 6,000명)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675만 1,000명)

25. 2018 한국 평균 국민연금액 : 37만 5770원   ※ 일본 : 6만 5000엔(65만원)

     기초노령연금액 : 25만원

26.2017 세대당 월평균 보험료 : 10만 7,302원   공단 지급 월평균 의료비 : 19만 2,080원

27. 2017 인구주택 총조사

□내국인중 고령인구 711.5만 명(14.2%) 고령화사회(2000년)이후 17년 만에 고령사회진입 

100세 이상(3,908명 12.1% 증가)

28. 기초장애연금(2019)

●지급액 : 현 25만원 - 2019 4월부터 30만원

●지원대상 : 소득하위 20% 이내의 65세 이상 노인

●대상자수 : 현재 517만 명 - 539만 명

●총 예산 : 11조 4,952억원

29. 장애인 연금(2019)

●대상 : 중증장애인중 소득 70% 이내

지급액 : 현 25만원 - 2019 4월부터 30만원

30. 2018년 3월 발표한 한국인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광역시도 평균 건강수명 : 1위 서울(69.7)    17위 전북(64.6)

○기대수명 : 1위 과천시(86.3)   252위 영양군(78.9)

○건강수명 : 1위 분당구(74.8)   252위 하동군(61.1)

※분당구 상위소득  5분위 건강수명(78.5), 신안군 하위소득 1분위 건강수명(52.0)

31. 현재 노인인구 : 738만 명 : 14.3% (남 42.7%, 여 57.3%)) 2018.9

32. 한국인의 은퇴준비 2018(대상 : 25세∼74세 2453명(비은퇴자 1953명, 은퇴자 500명)

○한국인의 실제 은퇴시점 : 57세 ※예상 은퇴시점은 62세

○노후생활을 위한 최소 생활비 : 198만원

○조기은퇴이유 : 건강문제(33%) 비자발적 퇴직(24%) 등

○재취업시 희만하는 최소 급여수준 : 194만원

○여유로운 생활을 위한 생활비 예상 : 290만원

○노후대비 정기저축하는 가구는 50% 정도, 저축액은 30만원∼50만원 정도

○은퇴후가장 걱정되는 일 : 건강악화-목적없이 시간 보내는것-가족에게 집이 되는 것-혼자 지내는 것 순

33. 2017년

□60세 이상 인구 : 1042만 명(20.3%)

□1인가구 : 562만 명(28.6%)

※일본 : 70세 이상이 가계급융자산의 60% 이상 소유 ▶ 나홀로, 소확행(작지만 확실하게 실현 가능한 행복 추구), 가심비(가격 대비 마음의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형태)성향

34. 2018 노인인구비율 14.3% 고령사회진입(진입은 2017년 말)

□전북 평균 : 19.51%로 전국 2위(전남 1위 21.8%) : 183만 6천 832명 중 35만 8천 410명

□전주(13.60) 군산(16.84) 익산(17.53) 김제(29.60) 진안,임실(32.49)

35. 2019 국민연금 수급자(65-74세 은퇴생활보고서 :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월평균 국민연금 수령액 : 50만 2천원

□월평균 생활비 : 210만원(※최소노후생활비용 : 183만원, 적정생활비용 : 264만원)

□현역때 소비수준 유지자 : 0.6%

□자신의 보유재산 소진 예상 시기 : 82세

□현역시기 상류층 인식자가 중산층 이동으로 인식 : 81.3%, 저소득층으로 인식 : 6.3%

  현역시기 중산층으로 인식자가 저소득층 이동으로 인식 : 25.9%

36. 한일 간 연금비교(65세의 경우)

■한국 : 적정생활비 227만원 : 연금 60만원 : -170만원     ※ 70대는 197만원 필요

■일본 : 적정생활비 27만 3천엔(300만원) : 연금 22만 8천엔(250만원) : -50만원

 

37. 2018년 암발병순 : 남자는 위암·대장암·전립선암·갑상선암·폐암 

                여자는 갑상선암·유방암·대장암·위암·자궁경부암

38.암종별 생존율 : △갑상선암(100.1%) △전립선암(94.1%) △유방암(93.2%) △간암(35.6%) △폐암(30.2%) △담낭·기타담도암(28.9%) △췌장암(12.2%)

39. 생존율 : 기대수명(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5.5%. 남자(기대수명 80세)는 5명 중 2명(39.6%), 여자(기대수명 86세)는 3명 중 1명(33.8%)

40. 2019말 고령인구(노인) : 15.5%(802만 6915명)-전체인구(5,184만9861명)※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 약730만명) ※기대수명:1980년(65세) 1990년(70세?) 2000년(75세?) 2010년(80세?) 2020년(84세) 

41. 2019 연령조사

○전국평균연령(42.6세) 전북(44.86세)

○전북인구(181만 8917명) 2018(183만 6832명) : -1만 7915명 ※ 1년후 180만 파괴

○전북노인인구(37만 676명) 20세미만(31만 955명)

○전북 90세 이상인구(1만 3296명, 0.73%, 140명에 한 명)  100세 이상인구(804명, 2500명에 한 명)

○전주시 평균연령(41.15세)  익산시(44.17세) 김제시(50.81세) 진안군(52.63세)

42. 2020년 말※

65세이상 노인인구비율 : 16.1%

□자녀와 살고 있는 노인 : 21.2%

□차후자녀와 살고 싶은 노인 : 12.5%

43. '2020 은퇴시장 리포트'(보험개발원)

■은퇴 가구의 평균 자산 : 3억 6316만원(은퇴 전 4억8185만원)

■연간 평균소득 : 2708만원(은퇴 전에는 6255)

■설문조사 : 여유로운 생활을 위해 필요한 월평균 생활비는 289만원

은퇴 후 예상 현금 수입 월 185만원

43. '2020년 생명표'

○출생아 기대수명

83.5년(남성 80.5, 여성 86.5) : 여성 2위, 남성 9위, 종합 2위

○기대여명

40세 남성 : 41.5년, 여성은 47.3년

60세 남성 : 23.4년, 여성은 28.2년

65세 남성 : 19.2년, 여성 23.6년

70세 남성 : 15년, 여성 19년

80세 남성 : 8.4년, 여성 10.8년

○지난해 출생아가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62.6%, 여성 81.5%로 나타났다.

10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1.3%, 여성 5.0%

44. 2021말 국민연금 상황

1. 노령연금 수급자 : 약 1만명 ※전체 수급자수 : 607만 명 청 29조 1천 400억원 지급

2. 100만원 이상 노령연금 수급자 : 43만 531명(3년만에 두배로 증가)

3. 200만원 이상 노령연금 수급자 : 1356명(1년만에 두 배로 증가)

4. 최고 수령자 : 240만원 ※부부합산은 435만 4천원

5. 100세 이상 수급자 : 117명(여성이 91명으로 78%) : 유족연금임

6. 본인 최고령 수급자 : 93세

7. 65세 이상 수급자 : 413만 7천여명으로 전체수의 46.7%임.

 

 

 

 

 

경제관련통계(2017 이후)

 

 

1. 2015년도 중산층은 중간소득 320만원의 150%-50% 범위에 속하며 전국민의 65%가 해당

3. 2016년도 가구당 연평균 소득 4767만원, 회사원 월평균 소득 300.5만원

4. 2016 소득 1분위 월평균소득 139.6만원, 5분위 월평균 821만원

5. 2016년도 전체가구 평균자산 : 3억 6187만원 저축액 6942만원

6. 2017년도 중위소득 월 447만원, 2018년은 452만원 예상

7. 2017 한국형 부자 24만 2천명(전인구의 0.47%이니 가족까지 포함하면 1.2%정도) : 금융자산 10억 이상, 부동산 28억 보유(전 가구 평균은 2억 5천만원), 순자산 50억원 이상, 연평균 소득 2억 8천만원, 월평균 소득 2326만원, 월평균 지출 970만원, 은퇴 후 생활비 717만원(일반인은 237만원)

※한국형 부자 월 생활비 비교 : 강남 1056만원, 수도권 914만원, 지방 901만원

일반가계 342만원 은퇴자가계 237만원

8. 세대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30대 이하 : 431.6만원, 지출 335.9만원 저축 100만원

40대 : 495만원

50대 : 505.5만원

60대 이상 : 300.4만원

9. 이상적인 중산층 : 소득 560만원, 재산 8억 5천만원

10. 20세 이상 재산상위 10%가 재산의 66.4% 차지, 소득은 45% 차지

상위 10% 연평균 소득 : 1억 4천만 원, 하위 10%는 500만원

상위하한선은 약 9300만원 정도 추정

11. 절대 빈곤율 : 최저 생계비 이하소득 가구 8.6%

상대 빈곤율 : 중간소득 가구의 50% 이하 가구 13.3%

12. 소득대비 집값 비율 : 타이베이 16배, 도쿄 4.9배, 뉴욕 6.1배, 서울 8.8배

13. 맞벌이와 외벌이 소득 비교 : 맞벌이 539만원, 외벌이 365만원

14. 서울 집값 : 평균 5억 198만원

단독주택 : 6억 9423만원 아파트 : 5억 6292만원 연립주택 : 2억 5193만원

강북 : 4억 1137만원 연 9.18% 증가, 강남 : 5억 9161만원 연10.535 증가

15. 2017 미혼가구 월평균 소득 : 306만원(남333, 여276) 저축자금 63만원

기혼가구 월평균 소득 : 540만원, 저축 53만원

16. 퇴직교원 여유로운 월 노후생활비 조사

500만원 이상 : 16.4%

300-500 : 66.1%

200-300 : 17.1%

100-200 : 0.4%

17. 2016 공무원 연금 부양률 : 40.5%

공무원수 110.8만명 수급자수 44.9만 명

18. 공무원 연금 선택률 : 1982 32.6%, 2000년 80%, 2004년 90%, 2016년 95.5%

19. 지난 10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 25.8%

농산물 40.7% 축산물 46.8% 수산물 54.6%

※10년간 실제 물가 상승률은 대략 40%로 보고 수입도 따라 주어야 한다.

20. 2016년 연말정산대상근로자수 : 1773만 명, 그 중 억대 연봉자수 59.6만 명(3.4%), 근로자 평균연봉 3245만원

20.금융자산 100만 달러(약 11억 5000만원)이상을 보유한‘백만장자’: 총 20만 8000명

21. 근로소득자 소득

   ●상위 0.1%(1만 7,000명)연평균 소득 : 6억 5,500만원

   ●상위 1%(17만 3,333명) 연평균 소득 : 1억 4,180만원

   ●상위 10%(173만 3,334명) 연평균 소득 : 7,009만원

   ●중위소득자(50%) 연평균 소득 : 2,299만원

      ※연소득 1억원 : 3.4% 구간 

22. 2016 봉급생활자 월평균 봉급액 : 281만원

23. 2016 가구당 자산보유액

  ○30대미만 : 8570만원

  ○30대 : 2억 5천730만원

  ○40대 : 3억 6564만원

  ○50대 : 4억 4302만원

  ○60대 3억 6648만원

24.순자산 10억 이상 보유가구비율 : 4.5%

   가구당 평균 순자산 보유액 : 2억 9533만원  그러나 중앙값은 1억 7563만원

25. 2017 직장인 평균연봉 : 3200만 원(OECD 23위) ※베트남 : 372만원

26. 2016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10분위(상위10%) 월소득 경계값

-2인가구 : 559만원    -3인가구 : 723만원  -4인가구 : 887만원  -5인가구 : 1,052만원

■10분위 평균가구원수 : 3.49명, 2인이상 가구평균 소득은 약 800만원

10분위 경계값 추산 : 소득 723만원과 순자산 6억 6천만원

27. 2017 가계금융복지조사

가구당 평균자산 : 3억 8,164만원   평균부채 : 7,022만원  가구당평균순자산  : 3억 1,142만원

가구당 평균소득 : 5,010만원  가처분소득(세금과 이자제외) : 4,118만원

■가처분 소득 중 부채상환에 드는 비율 : 25.0%

■노인 상대적 빈곤율 : 45.1%

28. 2017년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 5억 4915만원,  강남 : 6억 5009만원

29.재무제표상 국가부채 : 1555조 8,000억원  총세입 : 359조 5,000억원  총세출 : 342조 9,000억원

30.■2018 1분기 1분위 소득 : 128만 6,700원, 1분위중 70대 이상 가구주 비율(43.2%), 전년보다 8% 급감 2003년 이래 최저수준.

   ■2018 1분기 5분위 소득 : 1015만 1,700원, 전년대비 9.3% 증가, 역대 최대 증가폭

31. 2017 가구당(2.48명 기준) 자산:4억 7천만원(7.1% 증가),순자산 : 3억 9천만원,부채 : 8천만원 

    부동산(75.4%), 순자산 전넌보다 2천만원 증가 : 한국은행과 통계청 발표

32. ■2017 서울시민 1인당 월평균 소비금액 : 143만원 

   ○서초구 : 202만원  강남구 195만원  용산구 161만원  송파구 156만원

   ○압구정동 302만원  도곡동 244만원  반포동 223만원

   ○40대193만원   30대167만원  50대165만원  60대 129만원

   ■2017 급여소득자 월평균 소비액은 :  179만원            

   ○중구 241만원  종로구 238만원  강서구 235만원  

33. 2017 국민건강보험지역가입자 중 소득 상위2%(3860만원 초과), 재산상위 3%(5억 9700만원초과)

34. 2018 KB금융 한국부자 보고서(2017)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부자수 : 27만 8000명(평균 보유액 23억 2000만원) : 상위 0.54%

   ○부동산 자산(53.3%) 금융자산(42.3%) 기타(4.4%)으로 총 자산은 평균 55억원

   ○금융자산 종류별 비중 : 현금(51%) 저축성보험(15.6%) 주식(11.8%) 펀드(11.1%) 

   ○서울(43.6%인 12만 2000명) 그중 35.6%인 4만 3000명이 강남 3구 거주

   ○은퇴후 적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월 생활비 : 660만원(현 생활비는 930)

   ○일반가구에서 에상하는 은퇴후 생활비: 251만원

35. 2018 국민연금 수령상황

   ●수급자 수 : 447만 877명 (남 258만 4896, 여 188만 5981)

   ●수급자 월평균 연금액 : 37만 7895원

   ●종류별 내용 : 1. 노령연금 수급자 : 369만 6161명  2. 장애연금 수급자 : 6만 9545명

                    3. 유족연금 수급자 : 70만 5171명 

   ●금액별 내용 

   ○10만원 미만 :   2만 5971명     

   ○10-20만원   : 104만 6876명

   ○20-30만원   : 123만 8680명

   ○30-40만원   :  75만 5692명

   ○40-50만원   :  44만 6159명

   ○50-60만원   :  26만 9194명

   ○60-80만원   :  31만 1760명

   ○80-100만원  :  18만 3472명

   ○100만원 이상 : 19만 3073명   ※200만원 이상 : 9명

36. 통계청의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2018년도 2/4분기 월평균 소득)

    1분위 : 132만 5000원

    2분위 : 280만   200원

    3분위 : 394만 2300원

    4분위 : 544만 4200원

    5분위 : 913만 5000원

37. 소득대비 PIR분석

●의미 : 평균소득으로 몇 년을 모아야 평균 가격주택을 살 수 있는지의 지표

 

●대상 도시 : 302     서울 31위

●홍콩 46.9년   베이징 44.3년   런던 20.6년   파리 18.5년   서울 17.8년   도쿄 13.0년

  뉴욕 11.9년  베를린 10.4년

38. 첫 공개된 국세청 소득천분위(2016) : 2018.9.3

●근로소득 상위 0.1%(1만 7,740명) : 1인당 평균근로소득(6억 6천만원) ---하위10%(69만원)

●배당소득 상위 0.1%(8,915명) : 1인당 평균 배당소득(8억 1,768만원)----하위10%(79원)

●이자소득 상위 0.1% : 1인당 평균 이자소득(4815만원)----하위10%(28원)

●상위10%의 1인당 근로소득 평균(9300만원)----하위10%(70만원)

●종합소득 상위 0.1%(5,784명): 1인당 평균 25억 8,900만원

39. 2018 연금관련자료

■공무원 연금 최고 수급자 수령액: 720만원

  퇴직급여수급자수 : 41.9만 - 평균 수급액 240만원

  33년 이상 근무 수급자수 : 15.9만 명 - 평균 수급액 291만 원

■국민연금 최고 수급자 수령액 : 204만 원

  수급자 수 : 447만 명

  평균 수급액 : 37.7만원

40. 2018년 3분기(7-9월)가구평균소득

●474.8만원

●1분위(하위 20%) : 131.7만원(처분가능소득 : 88.3만원)        200만원 이하 

●2분위(하위 20-40%) : 284.3만원(처분가능소득 : 225.7만원)    200∼350만원

●3분위(중위40-60%) : 413.4 만원(처분가능소득 : 328.3만원)    350∼500만원

●4분위(상위 20-40%) : 569.1만원(처분가능소득 : 445.3만원)    500∼650만원

●5분위(상위 20%) : 973.5만원(처분가능소득 : 740.7만원)       650만원 이상

41. 2018년 50세 이상 대상 상반기 조사(국민연금공단)

□독립적 경제력을 갖추지 못함 : 56.5%(50대 35.6%, 60대 47.9%, 70대 64.5%, 80대 78%)

□도움 받고 싶은 대상 : 자녀 42.2%, 사회와 정부 30.2%, 배우자 27.4%

□은퇴후 생활비 : 부부기준 최소생활비(176만원) 적정생활비(243.4만원)

□기초연금 제외한 공적연금 수급자 : 37.6%(국민연금86.4%, 공무원연금8.2%, 군인연금3.3% 사학우체국연금2.1%) ※남성(64.2%, 여성 35.8%) ※생활가능한 연금수급자비율 : 13.6%

□노후가 시작되는 나이 : 68.5세 (집 나이로 70세)

42. 통계청의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2018년도 4/4분기 월평균 소득)※증감지수는 전년도 대비임.

    1분위 : 123.8만원(-17.7%)     : 0 ~ 200만원            : 63.4세

    2분위 : 277.3만원(-4.8%)       : 200만원 ~ 350만원  : 53.8세

    3분위 : 411만 2300원(+1.8%)  : 350만원 ~ 500만원  : 49.6세

    4분위 : 557.3만원(+4.8%)        : 500만원 ~ 650만원  : 48.8세

    5분위 : 932.4만원(+10.4%)      : 650만원 이상           : 50.3세

43. 2018년 <2019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신한은행

□월평균 가구 총소득 : 476만원

□월평균 가구 총소비 : 238만원

□5분위(상위 20%) 평균소득 : 892만원    1분위(하위 20%) 평균소득 : 185만원

□총자산 5억이상 가구 평균보유자산 : 9억 6,490만원

□서울시내직장인 월평균 급여:358만원(중구407   종로구403   영등포구393  중랑구268

□서울시내 전문직 월급액 :  377만원   일반직장인 : 299만원

□서울시내 직장인 월 소비액 : 서초구330 강남구326  용산구287 금천구186

44.2018 가계동향조사 : 통계청

□전국 평균 월평균소비지출(세금, 보험료, 이자, 헌금 등 비소비지출 제외) : 253.8만원

□고소득 600-700만원 : 374.7만원    700만원 이상 : 459.5만원

45. 2019.4월 :

서울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  7억 9921만원 ◀1월 8억 1102만원(최고가)

□강남 11개구 : 9억 4481만원 ◀9억 6063만원  ※서초구 15억 2780만원 ◀15억 5551만원

□강북 14개구 : 6억 101만원 ◀6억 2592만원    ※용산구 13억 6727만원 ◀13억 7850만원

서울아파트 중위가격 7억 7704만원 ◀7억 8619만원(1월 최고가)

46.연금현황(2019.3)

■ 국민연금 : 459만명

○50만원 미만 : 77.7%

○5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 : 17.5%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 4.9%

○200만원 이상 : 32명

■ 공무원연금 : 49.5만 명

○100만원 미만 : 7.1%

○100만원 이상~200만언 미만 : 28.9%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 39%

○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 : 24%

○400만원 이상 ~ 500만원 미만 : 0.89%

○500만원 이상 : 85명

■ 교수사학연금 : 8만 명

○100만원 미만 : 2.27%

○100만원 이상~200만언 미만 : 18.5%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  31.1%

○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 : 41.2%

○400만원 이상 ~ 500만원 미만 : 6.7%

○500만원 이상 : 47명

■ 군인연금 : 9.4만 명

○100만원 미만 : 3.3%

○100만원 이상~200만언 미만 : 31.6%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  31.1%

○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 : 28.8%

○400만원 이상 ~ 500만원 미만 : 5.0%

○500만원 이상 : 41명

50. 공무원 연금관련 자료(2018.12)

○연금수급자수 : 50만 6,550명

○퇴직연금(87%) 유족연금(12%) 장해연금(1%)

○퇴직연금 평균수급기간 : 10.4년 ▶ 유족연금 기간포함 : 19.9년

○퇴직연급수급자 평균연령 : 67.1세

○퇴직연급수급자 월평균수급액 : 240만원

51. 2018.11.1 중장년층(40세-65세) : 총 1982만 3천명

○작년 주택을 한 채 이상 소유한 중장년은 전체의 42.0%( 남성은 45.2%, 여성은 38.7%)

○소유주택가격 : 3억-6억 15,3%, 6억이상 5.3%

○평균소득 : 3천 441만원 : 남성 소득(4천478만원), 여성(2천138만원)

52. 베이비 부머(1955-1963) 724만 명(2019)

    55년생(66세) : 71만 명, 국민연금 수령자 : 45.8% 월평균수령액 52만원(남62만원, 여34만원)

53. 2019년 명목금액 기준 국제통화기금(IMF) 국내총생산 추산치

1. 미국(21조4394억 달러)

2. 중국(14조4140억 달러)

3. 일본(5조1544억 달러)

4. 독일(3조8633억 달러)

5. 인도(2조9355억 달러)

6. 영국(2조7435억 달러)

7. 프랑스(2조7070억 달러)

8. 이탈리아(1조9886억 달러)

9. 브라질(l조8470억 달러)·

10. 캐나다(1조7309억 달러)·

11. 러시아(1조6378억 달러)·

12. 한국(1조6295억 달러) 
54. 2020년 10월

□국가 총 GDP 세계 10위

1인당 명목 GDP 30,644달러 - 세계 26위

□ 1인당 구매력(PPP) GDP 44,292 달러 - 세계 24위 (일본 추월)

54. 2020년 4분기 소득현황

◯가구당 월평균소득 : 516.1만원

-1분위(하위 20%) : 164만원(근로소득 : 59.6만원)

-5분위(상위 20%) : 1,002.6만원(근로소득 : 721.4만원)

-처분가능소득 5분위배율 : 4.72배

55. 2021년 1월 아파트 가격현황

◯전국 5분위(상위 20%) 평균매매가격 : 9억 9,806만원

전국 1분위(하위 20%) 평균매매가격 : 8,609만원 ※5분위배율 : 11.6배

문재인 정부 2017.5 ~ : 1분위 아파트 상승가 : 841만원, 5분위 아파트 상승가 : 4억 2,386만원

◯서울 5분위(상위 20%) 평균매매가격 : 18억 2,590만원

문재인 정부 2017.5 ~ : 5분위 아파트 상승가 : 8억 1,742만원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32평) : 3억 3,359만원

서울 민간아파트 분양가(32평) : 9억 457만원

문재인 정부 2017.5 ~ : 전국 8,828만원 상승, 서울 2억 2,873만원 상승

56.통계청 2021 조사 :

20대 이하 가구주 평균자산 (1억 2,140만 원

30대 가구주의 평균 자산은 4억 17만 원 

40대(5억 5,370만 원),

50대(5억 6,741만 원)

60대 이상(4억 8,914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