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

국도 : 2021 마한서예문인화대전

청담(靑潭) 2021. 8. 17. 08:11

國 島(국도)

양사언(楊士彦 1517-1584)

金屋樓臺拂紫烟 (금옥루대불자연)

아름다운 누대에는 자줏빛 안개가 스치고

 

躍龍雲路下群仙 (약룡운로하군선)

용 꿈틀거리는 구름길로 신선들 내려오네.

 

靑山亦厭人間世 (청산역염인간세)

청산도 또한 인간세상이 싫어

 

飛入蒼溟萬里天 (비입창명만리천)

만리를 날아 푸른 바다로 날아왔구나.

 

■해설

國島는 안변앞 동해 바다의 명승지로 고려시대부터 사대부들이 즐겨 탐방하던 곳으로 이에 대해 읊은 시문이 현재 많이 전하고 있다. 양사언은 1577년 경 안변부사로 있었으니 이때 이 시를 지은 것으로 보인다. 起句와 承句에서는 눈앞에 보이는 국도의 선경을 그린 다음, 국도가 인간 세상을 싫어하여 이 동해 바다에 들어왔다고 상상력을 발휘하였다.

 

■양사언(楊士彦 1517-1584)

1546년(명종 1) 문과에 급제하여 대동승(大同丞)을 거쳐 삼등(三登: 평안남도 강동 지역)·함흥(咸興)·평창(平昌)·강릉(江陵)·회양(淮陽)·안변(安邊)·철원(鐵原) 등 8고을의 수령을 지냈다. 자연을 즐겨 회양의 군수로 있을 때는 금강산에 자주 가서 경치를 감상했다. 만폭동(萬瀑洞)의 바위에 ‘蓬萊楓岳元化洞天(봉래풍악원화동천)’이라 글씨를 새겼는데 지금도 남아 있다.

안변의 군수로 있을 때는 백성을 잘 보살펴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品階)를 받았고, 북쪽의 병란(兵亂)을 미리 예측하고 말과 식량을 많이 비축해 위급함에 대처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릉(智陵: 이성계 증조부의 묘)에 화재가 일어나자 책임을 지고 해서(海西: 황해도의 다른 이름)로 귀양을 갔다. 2년 뒤 유배에서 풀려나 돌아오는 길에 세상을 떠났다.

40년간이나 관직에 있으면서도 전혀 부정이 없었고 유족에게 재산을 남기지 않았다. 한편, 남사고(南師古)에게서 역술(易術)을 배워 임진왜란을 정확히 예언했다는 일화가 전한다.

한시는 작위적이지 않고 표현이 자연스 러워, 더 이상 고칠 데가 없이 뛰어나다는 평을 들었다. 가사(歌辭)로는 「미인별곡(美人別曲)」과 을묘왜란(乙卯倭亂) 때 군(軍)을 따라 전쟁에 나갔다가 지은 「남정가(南征歌)」가 전한다. 이밖에 시조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는 지금도 널리 애송되고 있다. 「미인별곡」은 현재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해서(楷書)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안평대군(安平大君)·김구(金絿)·한호(韓濩)와 함께 조선 4대 서예가로 일컬어진다. 특히 큰 글자를 잘 썼다고 전한다. 문집으로 『봉래집(蓬萊集)』이 있다.

 

2021 마한전

'서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야희우  (0) 2021.09.14
서체의 변천  (0) 2021.09.12
익산도중 : 2021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서예, 전북의 산하를 말하다」 익산전  (0) 2021.08.02
閑居(한거)  (0) 2021.05.08
서예의 이해 4  (0) 202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