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12

미륵산 가는 길에 지나다

미륵산 가는 길에 지나다.〔彌勒山途中經過〕 오횡묵(吳宖默 : 1834~1906) 황차 심은 것을 보기 위해 일부러 소씨가 사는 집에 찾아갔다. 종소리가 들리니 절이 있음을 알겠더니댓바람 소리에 다시 수레 멈추었다. 골짜기 새들은 지저귀며 화답하고(谷鳥鳴相應)숲속 꽃들은 웃으면서 피려한다.(林花笑欲舒) 지나오며 구경했던 기이한 풍경은 그 동안 들어왔던 뜬 바위를 말하리라. ■저자 오횡묵은 1874년(41세)에 무과에 급제하여 1877년(44세) 수문장을 시작으로 부사과, 감무감, 공상소 감동낭관, 영남 별향시, 박문국 주사를 거쳐 1887년(54세) 정선군수에 임명된다. 그 뒤 자인현감, 함안군수, 고성부사를 거쳐 내금위장겸 공상소 인감, 징세서장을 지내다가 다시 지도군수, 여수군수, 진보군수를 지내고 1..

서예 2024.06.15

백산 별서 지산원 춘우송

백산 별서 지산원 춘우송(白山 別墅 芝山園 春雨頌) 하루 종일 봄비 내리고매화꽃은 하염없이떨어지는데연못 가득 고인 물열 세 마리 비단잉어 신났다. 기나 긴 겨울 눈 구경 못하고가뭄 끝 봄 장맛비 나도 흥겹다. 창문 열고 이정화의 봄비 노래 들으며 책장을 넘긴다. 이따가 저녁상엔새콤한 쪽파와 쑥 얹어호박전 두어 개 부쳐 달래서막걸리 한 잔 술 기대 크다오.       (2024.4.2.)

시모둠 2024.06.06

호남보고 이리안내

호남보고 이리안내《湖南寶庫 裡里案內》 일명 익산발전사 : 문화도시 익산저자 : 야마시타 에이지(山下英爾) 양은용 역주  □이리(裡里)1995년에 이리시와 익산군의 도농통합으로 현 익산시가 된다. 구 이리시 지역은 조선시대에 본디 전주부에 속한 옥야현지역(조선 태종때 전주부의 속현이 되었다가 이후 폐현됨))인데 1906년에 대한제국 칙령 제 49호로 飛入地(越境地)인 옥야현을 익산군에 이곳시킨다. 이로써 옥야지역의 남일면, 남이면, 동일면, 서일면, 북일면이 익산군이 되었다. 이리는 남일면에 속한 만경강변의 작은 마을로 속리라 부르던 것이 한자로 이리로 표기하게 되었다. 1909년 말 호남선을 부설하기 위한 측량이 시작되었고 1911년에는 철도공사가 착수되고 익산군청이 이곳 남일면으로 옮겨왔다. 1912년..

향토사 연구 2024.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