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12

서예가가 사랑한 우리말 노래

서예가가 사랑한 우리말 노래 엮은이 송경모 강암학술재단에서 주관하여 2024년 가을, 서울과 전주에서 《2024 한글서예변주전 : 붓으로 쓴 우리말 노래》전을 개최하였는데 상임이사인 송경모 군이 95개 출작품들의 노랫말과 작품사진을 싣고 노랫말에 대한 해설과 작가들의 辯을 실었다. 매우 재미있게 엮은 책이다. 엮은이 송경모 박사는 강암 송성용 선생의 큰 아들인 고 송하철 전 전북부지사의 아들로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제 및 금융관련 연구와 교수를 역임한 후 현재는 출판사(아석재)를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친구인 취석 송하진 전 전북지사의 큰 조카이기도 하지만, 나의 매제인 윤영환 교수와는 서울대 경제학부 동기생이기도 하다. 노래는 대부분 가요이지만 가곡도 있고 국악도 있다. 100여명의 서예가들이 ..

독서록 2025.01.10

청곡 이판기 선생 추모비

(전면)  新平人 淸谷 李判基 先生                                              追慕碑 南平人 執事 文順德 女史  (후면)추모의 글청곡 이판기 선생은 고려조 문하시랑 평장사 덕명의 27세손으로 10세손 문정공 가종, 13세손 평택현감 형수, 20세손 시독공 성하, 24세손 증조부 가선대부 내부협판 옥연, 조부 가선대부 한성판윤 근욱을 거쳐, 부친 지산 문환과 모친 전주인 이지출 사이에 1934년 음력 11월 19일 김제군 백산면 상정리 돌제에서 출생하셨습니다. 종정초등학교, 이리중학교, 이리공업고등학교를 거쳐 전북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시고, 금융관련 사업을 하시다가 1968년에 늦게 교육계에 입문하셨습니다. 고창 후포초등학교를 초임으로 김제 종정초, 수월초, 백석초..

신평이씨 2025.01.09

거안사위

居安思危(거안사위) 편안할 때도 위태로울 때의 일을 생각하라는 뜻. 居 : 살 거    安 : 편안 안   思 : 생각할 사   危 : 위태할 위《좌씨전(左氏傳)》과 서경 열명편에 나오는 말이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초(楚)나라는 정(鄭)나라와 연합하여 진(晉)나라의 동맹국인 송(宋)나라에 침입했고, 결국 조겹(朝郟), 유구(幽丘), 성고(城郜), 팽성(彭城) 등 4개의 성읍을 점령했다. 송나라의 구원 요청을 받은 진나라 도공(悼公)은 송(宋), 위(衛), 조(曹), 거(莒), 주(邾) 등의 나라와 동맹을 맺고 출병하여 정나라의 항복을 받고 송나라의 4개 성읍을 되찾았다. 정나라는 항복의 표시로 진나라에 전차(戰車)를 비롯한 많은 병기와 3명의 악사(樂師), 16명의 미인을 보냈다. 진나라 왕 도공(悼公..

서예 2025.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