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부부고1(허균)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1 허균 : 1569년 ~ 1618년 ■허균의 일생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 성소(惺所)· 백월거사(白月居士)이다. 1569년 초당 허엽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589년(선조 22) 생원이 되고, 1594년(26세) 정시문과에 급제, 검열(檢閱)· 세자시강원 설.. 한국고전 2018.02.01
삼봉집(정도전) 삼봉집(三峯集) 정도전 : 1342년 ~ 1398년 삼봉집 제1권 ■차운하여 정달가 몽주(1337-1392) 에게 부치다[次韻寄鄭達可 夢周] 마음을 같이한 벗이 / 夫何同心友 하늘 한구석에 각각 있는지 / 各在天一方 때때로 생각이 여기 미치니 / 時時念至此 저절로 사람을 슬프게 하네 / 不覺今人傷 봉황새는.. 한국고전 2018.01.21
산림경제(홍만선) 산림경제(山林經濟) 홍만선(洪萬選 1643-1715) 1666년(현종 7) 진사시에 합격하고, 1682년(숙종 8) 30세에 음보(蔭補)로 벼슬길에 올라 내직으로는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 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 의금부도사, 공조의 좌랑·정랑, 익위(翊衛), 사옹원·사재감·장악원·사복시 등의 정(正)을 .. 한국고전 2017.12.01
목민심서 3 목민심서(牧民心書)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 목민심서 형전(刑典) 6조 제1조 청송(聽訟) : 모든 송사를 들어 처리하는 데에는 무엇보다 송사를 처리하는 자 자신의 성실한 태도가 중요하고, 따라서 공명정대하며 신속하게 하여 민폐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 ▣청송(聽訟)의 근본은 .. 한국고전 2017.09.13
목민심서 2 목민심서(牧民心書)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 목민심서 이전(吏典) 6조 제1조 속리(束吏) : 아전 단속 ▣아전(衙前)을 단속하는 기본은 자기의 처신을 올바르게 하는 데 달려 있다. 자신이 올바르면 명령하지 않아도 잘 시행되고, 자신이 올바르지 못하면 아무리 명령해도 잘 시행.. 한국고전 2017.09.07
목민심서 1(정약용) 목민심서(牧民心書)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 자서(自序) ...그렇다면 군자(君子)의 학은 수신이 그 반이요, 반은 목민인 것이다. 성인의 시대가 이미 오래되었고 그 말도 없어져서 그 도가 점점 어두워졌다. 요즈음의 사목(司牧)이란 자들은 이익을 추구하는 데만 급급하고 어떻게.. 한국고전 2017.08.29
동문선 2 동문선(東文選) 2 동문선 제52권 ●풍왕서(諷王書) : 설총(薛聰) 신은 듣자오니, 옛날 화왕(花王 모란(牧丹))이 처음으로 이곳에 이르렀을 때, 향내 풍기는 동산 속에 심고 푸른 장막으로써 둘렀더니, 늦은 봄을 당해 곱게 피자, 온갖 꽃을 무시하고 유독 빼어났답니다. 그러자 가깝고 먼 곳.. 한국고전 2017.08.22
동문선1(서거정) 동문선(東文選) 1 서거정 (1420-1488)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지식인으로 45년간 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성종의 여섯 임금을 모셨으며 신흥왕조의 기틀을 잡고 문풍을 일으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원만한 성품의 소유자로 단종 폐위와 사육신의 희생 등의 어지러운 현실 속에서도 왕.. 한국고전 2017.08.11
동국이상국후집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 ▣동국이상국후집 서 ○동국이상국후집 서 맏아들 함(涵)은 삼가 말씀드립니다. 대인(大人)께서 평생에 저술하신 글이 퍽 많았으나 본래부터 글을 모아 두지 않으셨고, 또 타인의 손에 넘어갔다가 돌아오지 않았거나 혹은 불에 태워 버리신 것들도 있어서 .. 한국고전 2017.07.02
동국이상국집 2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 ▣동국이상국전집 제19권 ○거란(契丹)을 평정한 데 대한 송 사나운 저 오랑캐 / 獷彼頑戎 우리 변방에 함부로 들어오네 / 闌入邊鄙 우리 백성을 씹어서 / 呑噬我生民 피가 그 이[齒]에 흐르네 / 血流于齒 우리 성황 크게 성내시어 / 聖皇赫怒 그 .. 한국고전 2017.06.27